광주2 The Subjectivity of Civil Militia in May 18 Gwangju Uprising Kim, Jung Han, "The Subjectivity of Civil Militia in May 18 Gwangju Uprising", Korean Memories and Psycho-Historical Fragmentation, Kim, Mikyoung (Ed.) Palgrave Macmillan, 2019 https://www.palgrave.com/gp/book/9783030059057 Korean Memories and Psycho-Historical Fragmentation | Mikyoung Kim | Palgrave Macmillan This pioneering book is the first English volume on Korean Memories. In it, Mikyoung .. 2020. 3. 6. 5.18기록관 포럼 이날 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한 김정한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도 "1990년대 말 이후 국가폭력에 대한 비판이 강조되고 피해자 보상 문제가 결부되면서 5·18 연구와 담론이 '저항'에서 '희생과 피해'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며 "어쩌면 사전기획설은 국가폭력에 의한 광주의 '희생과 피해'를 부각시키려는 심리와 정서를 반영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고 밝혔다. 김 연구교수는"사전기획설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광주의 저항"이라며 "가해-피해 관점에서 진상규명도 중요하지만 5·18의 대의는 '저항'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수부대는 '부마지역 학생소요 사태 교훈'에 의거해 초기부터 잔혹하게 진압하면 상황이 끝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지만 예상과 달리 저항하는 학생과 시민의 수가 늘어나자 11.. 2019. 7. 4. 이전 1 다음